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패스트캠퍼스] 데이터시각화 강의 학습 3주차

by 분석가 슬기 2023. 4. 12.

1. UX 관점의 대시보드 설계 개념 학습

국비지원을 통해 수강 중인 [패스트캠퍼스] 데이터 시각화 강의 3주차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대시보드 설계 방식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2주차까지는 인터랙티브한 대시보드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필터, 하이라이트, URL 액션 및 매개변수 설정 등에 대해 실습하였다면, 3주차부터는 **대시보드를 사용하는 대상(사용자)**에 따라 어떤 기능과 레이아웃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수업이 진행되었습니다.

강의에서 가장 강조된 핵심 메시지는 "대시보드는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데이터 시각화는 단순히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설명하였습니다.
따라서 누가, 어떤 목적으로 대시보드를 사용할지를 먼저 고려한 후, 그에 맞는 기능과 구성을 설계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2. 사용자 유형에 따른 대시보드 설계 방식

강의에서는 사용자 유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설계 방향을 구분하였습니다.

  • 경영진 대상 결과형 대시보드:
    경영진은 데이터 분석보다는 결과 중심의 핵심 지표를 빠르게 파악하는 목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터랙티브 요소를 제거하고, 인쇄 또는 보고서 형태로 쉽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정적인 레이아웃과 시각화 요소 위주로 구성해야 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 실무자 대상 분석형 대시보드:
    실무자는 데이터를 자유롭게 탐색하고 분석을 수행해야 하므로, 필터, 매개변수, 정렬 기능, 액션 기능 등 다양한 상호작용 요소를 포함한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스스로 조작하며 의사결정을 도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처럼 대시보드는 단순히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도구가 아니라, 사용자의 목적에 맞춘 인터페이스이자 정보 전달 플랫폼이라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필기 일 부분


3. 컨테이너 활용과 여백 설계 팁

이번 주차에서는 대시보드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컨테이너(Container)의 활용법도 함께 실습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파워포인트(PPT)나 문서 편집기에서는 각 요소의 정렬이나 간격 조정이 번거로운 작업이지만,
태블로에서는 바둑판 방식의 레이아웃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간격이 맞춰져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바둑판 컨테이너’를 활용하면 시각화 요소들이 정사각형 셀에 정확히 들어맞기 때문에,
보다 정돈되고 전문적인 느낌의 대시보드 구성이 가능하다고 느꼈습니다.

또한 이번 주차에서 강조한 또 하나의 요소는 여백(Whitespace)의 중요성이었습니다.
적절한 여백을 통해 시각적 피로도를 줄이고 정보의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으며,
태블로의 안쪽 여백(Padding) 기능을 활용하여 시각화 요소 간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을 실습을 통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학습 소감 및 향후 기대

이번 주차 학습을 통해, 단순히 시각화 요소를 배치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목적과 경험을 고려한 설계 방식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분석 결과를 어떻게 전달하고, 어떤 시각 흐름을 유도할 것인지에 대한 UX 관점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후 실습에서도 이러한 사용자 중심 설계를 계속 염두에 두고, 직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대시보드를 제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