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 탐색 및 전처리 기능 학습
국비지원으로 수강 중인 [패스트캠퍼스] 데이터 시각화 강의 4주차에서는 실전 중심의 데이터 탐색 및 전처리 방법을 학습하였습니다.
이전 주차까지는 태블로의 기본 기능, UX 기반 설계, 대시보드 구조와 액션 등을 익히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이번 주차부터는 보다 실무적인 데이터 분석 절차를 바탕으로 현업에서 활용 가능한 대시보드 설계 및 구현에 돌입하였습니다.
먼저 학습한 내용은 데이터 연결과 관계 설정이었습니다.
태블로에서도 SQL처럼 여러 데이터 테이블을 조인하거나 관계(Relationship)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SQL 작성 없이도 복합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기존에는 SQL로 데이터를 미리 가공한 후 태블로로 옮겨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태블로 내부에서 바로 데이터 간 연산과 연결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생산성을 크게 높여주는 요소였습니다.
2. 계산식 활용과 LOD 함수의 이해
이번 주차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계산식(Calculated Field)의 활용이었습니다.
태블로에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이 계산식인데, 복잡한 지표나 사용자 정의 조건을 만들기 위해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태블로는 엑셀 함수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사용자 정의 수준이 훨씬 높으며, 특히 LOD(Level of Detail)라는 고급 함수 구문이 존재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FIXED, INCLUDE, EXCLUDE 등의 LOD 표현식을 학습하였습니다.
LOD는 데이터 집계 레벨을 조정하여 특정 필드를 기준으로 고정하거나 제외하는 방식인데, 이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으면 결과값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실습과 반복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양한 BI 툴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FIXED, INCLUDE, EXCLUDE의 차이를 바로 구분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만큼 태블로는 시각화 도구 이상의 기능을 제공하며, 복잡한 로직 구성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강사님께서 반복해서 설명해주시고 실습 예제를 통해 구조를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셔서 점차 개념을 잡아가는 중입니다.
3. 실전 KPI 대시보드 제작 실습
강의 후반부에는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실전 비즈니스 시나리오 기반 대시보드 제작 실습이 진행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Weekly KPI, Sales Analytics, 그리고 인터랙티브 대시보드를 구현하였으며, 각 대시보드는 현업에서 활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인터랙티브 대시보드는 필터 액션, 하이라이트, 매개변수, LOD, 사용자 입력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모두 통합하여 구현하는 형태였습니다. 기능이 많아 복잡했지만 강의에서 친절하게 단계별로 설명해주셔서 전체 흐름을 따라가는 데 무리는 없었습니다.
완성한 대시보드는 웬만한 실무 보고서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습을 통해 실무 활용 능력도 함께 향상되고 있다는 점에서 만족도가 매우 높았습니다.
태블로의 강점은 사용자의 기술 수준에 따라 다양한 난이도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 실습을 통해 직접 KPI를 설정하고, 실적 데이터를 시각화하며, 대시보드 내에서 유저가 자유롭게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으며, 단순히 보기 좋은 차트가 아니라 ‘분석 가능한 도구’로 대시보드를 설계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